본문 바로가기
문학 작품 문제/고전시가

공무도하가(백수 광부의 아내), 모죽지랑가(득오) 문제

by Misozine 2023. 12. 4.
728x90

 

 

 

[1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公無渡河 임아 을 건너지 마오
公竟渡河 임은 기어이 물을 건너시네
墮河而死 물에 빠져 돌아가시니
當奈公何 이제 임을 어이할꼬
- 백수 광부의 아내,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
간 봄 그리매
  우리 시름
 나토샤온
 살쯈 디니져
눈 돌칠 이예
맛보디 지
()이여 그릴  녀올 
다봊  잘 밤 이시리
- 득오, <모죽지랑가(慕竹旨郎歌)>


간 봄 그리워함에
모든 것이 서러워 시름하는데
아름다움을 나타내신
얼굴이 주름살을 지으려 하옵내다
눈 돌이킬 사이에나마
만나 뵙도록 하리이다
낭이여 그리운 마음의 가는 길이
다북쑥 우거진 마을에 잘 밤이 있으리이까
<양주동 역>

 

1.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는 모두 자연물로 화자의 심리를 비유하고 있다.

(), ()에는 모두 화자의 근심과 연관된 인물이 직접 언급되고 있다.

()는 대화를 통해, ()는 독백을 통해 심리적 갈등을 드러내고 있다.

()는 반어적 표현으로, ()는 직설적인 표현으로 주제를 나타내고 있다.

()는 시각적 심상으로, ()는 청각적 심상으로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② [표현상 특징 파악] (가)의 화자는 ‘임’과의 사별에 괴로워하고 있고, (나)의 화자는 ‘낭’을 다시 만나지 못하는 상황에 안타까워하고 있다. ‘임’과 ‘낭’은 (가)와 (나)의 화자가 근심하는 일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인물들이다. 󰃛 ① (가)와 (나)에는 ‘물’이나 ‘다북쑥’ 등의 자연물이 등장하기는 하나, 그러한 것들이 화자의 심리를 비유하기 위해 사용된 것은 아니다. ③ (가)와 (나) 모두 화자가 상대방을 부르고 있으나 상대방과 실제로 대화를 나누고 있는 것은 아니다. 대화를 통해 심리적 갈등이 드러난다고 할 수도 없다. ④ (가)와 (나) 모두 화자는 상대방에 대한 자신의 마음을 감추지 않고 드러내고 있다. 반어적 표현은 찾을 수 없다. ⑤ (가)에는 ‘물’이라는 시각적 심상이 나타나고 있으나, (나)에는 청각적 심상으로 볼 수 있는 요소가 나타나지 않는다.

 

 

2. ⓐ, 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는 화자가 꿈꾸는 이상 세계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② ⓑ는 상대방과 재회하려는 화자의 소망을 형상화하고 있다.

③ ⓐ는 모두 화자가 겪게 될 비극적 사건의 원인이 되고 있다.

④ ⓐ의 등장으로 인해 화자들은 상대방과 함께 지내는 것을 방해받고 있다.

⑤ ⓐ에는 갈등을 극복하려는 적극적 의지가, 에는 갈등을 회피하는 소극적 태도가 담겨 있다.

② [소재의 기능 파악] 󰃯 ② ‘길’은 화자가 그리워하는 상대를 향해 가는 길이다. 이는 ‘낭’ 과 다시 만나려는 화자의 소망이 형상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① ⓐ는 화자와 임을 분리시키는 경계로, 화자가 생각하는 이상 세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③, ④ 임이 ⓐ를 건너는 일은 (가)의 화자와 임이 이별하여 서로 함께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다. 그러나 ⓑ는 오히려 화자와 임을 다시 만나게 해 줄 수 있는 긍정적인 통로이다. ⑤ (가)의 화자는 임이 ⓐ를 건너려는 것을 만류하고 있고, (나)의 화자는 ⓑ를 통해 낭(죽지랑)을 다시 만나려 하고 있다. ⓐ에 갈등을 극복하려는 적극적 의지가 담겨 있다고 보기 어렵고, ⓑ에서 갈등을 회피하려는 심리를 찾을 수도 없다.

 

 

 

3. <보기>를 바탕으로 ()를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선생님:이 작품은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의 죽지랑에 대한 이야기 끝부분에 실려 있습니다. 죽지랑은 신라의 삼국 통일에 공을 세운 화랑이었고, 득오는 죽지랑의 낭도였습니다. 어느 날 득오가 익선이라는 관리에게 급히 징집되어 죽지랑에게 미처 알리지도 못하고 힘든 부역에 동원되었는데, 득오가 보이지 않는 것을 이상하게 여긴 죽지랑이 이 사정을 알고 직접 술과 음식을 준비하여 다른 낭도들과 함께 득오를 찾아가 위로하였다고 합니다. 일연은 득오가 일찍이 죽지랑을 그리워하여 지은 노래라 설명하며 이 작품을 기록해 두었습니다.

은 득오가 죽지랑과 함께할 수 있었던 과거의 한때라고 이해할 수 있겠군.

죽지랑을 만나지 못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득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겠군.

나토샤온얼굴은 죽지랑의 훌륭한 인품을 외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겠군.

살쯈은 죽지랑의 은혜에 보답하지 못하는 득오의 자괴감을 의미하는 것이겠군.

잠을 이루지 못하는 은 죽지랑을 간절히 그리워하는 득오의 상황을 나타낸 것이겠군.

④ [작품의 종합적 이해] 󰃯 살쯈은 화자가 그리워하는 죽지랑의 얼굴에 있는 것이므로, 죽지랑의 현재 상태와 관련된다. 또한 득오가 죽지랑의 은혜에 보답 하지 못한다고 자괴감을 느끼는 부분은 작품에 나타나지 않는다. 󰃛 ① 이 지닌 긍정적인 이미지와 화자가 이를 그리워한다는 점을 득오와 죽지랑의 인연과 연결해 보면, ‘은 득오가 죽지랑과 함께했던 좋았던 시절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시름은 무언가에 대한 근심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화자의 근심은 죽지랑을 보지 못하는 것이므로, 만나지 못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더욱 깊어질 수밖에 없다. 죽지랑이 아랫사람에게 보여준 따뜻한 태도를 고려할 때 아름다움을 나타낸 얼굴은 외면의 아름다움을 넘어 내면의 아름다움을 형상화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죽지랑을 다시 만날 때까지 화자가 가는 길은 끝나지 않을 것이다. 밤에도 잠을 이루지 못하리라고 하는 것은 화자가 그만큼 죽지랑을 간절히 그리워하고 있음을 말해 준다.

728x90